posted by CPT #7 JIN 2017. 4. 3. 02:15


1. 개요

1995년 개봉한 오시이 마모루 감독의 공각기동대를 할리우드에서 실사화 한 영화이다. 제작은 드림웍스이며 파라마운트 픽처스가 배급을 한다. 스칼렛 요한슨 주연으로 화제가 되었으며 상당량의 중국자본이 투입된것으로 보인다.


2. 줄거리

인간과 로봇의 경계가 무너진 가까운 미래, 강력 범죄와 테러 사건을 담당하는 엘리트 특수부대 섹션9. 인간과 인공지능이 결합해 탄생한 특수요원이자 섹션9을 이끄는 메이저(스칼렛 요한슨)는 세계를 위협하는 음모를 지닌 범죄 테러 조직을 저지하라는 임무를 받는다. 첨단 사이버 기술을 보유한 ‘한카 로보틱스’를 파괴하려는 범죄 테러 조직을 막기 위해 엘리트 특수부대 섹션9이 나서기 시작하고 사건을 깊이 파고들수록 메이저는 자신의 과거와 존재에 대한 의문을 갖게 되는데…! 스스로의 존재를 찾기 위한, 그리고 세계를 구하기 위한 거대 조직과의 전투가 시작된다!

출처: 네이버영화


3. 리뷰

블로그 자체 평점: ★☆☆☆☆ 원작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는 총체적 난국

일단 가장 먼저 말하고 싶은건 필자와 동행하여 관람한 일행이 영화에 대해서 전혀 이해를 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관객에게 스토리 몰입이나 이해를 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이다. 할리우드 실사판 영화라는게 단순히 원작에서 모티브만 따와서 오리지날로 제작하는 것도 있고 원작을 최대한 오마주하려고 하는것도 있는데 이 영화는 이것도 저것도 아닌 애매한 위치에 있다. 


일단 스칼렛 요한슨이 원작의 쿠사나기 모토코 소령의 캐릭터를 잘 재현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뿐이다. 배경이 되는 일본은 영화 블레이드 러너를 리메이크한듯한 모습을 하고있다. 과연 이 영화에서 저렇게 화려한 도시의 배경이 필요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원작의 멋진 장면은 영상 기술이 발달한 만큼 잘 재현해 놓았다. 하지만 이것은 매가리 없는 스토리에 단순히 멋진 장면만 추려서 삽입해 놓은듯하다. 감독이 원작의 팬이라고 하는데 단순히 연출만 보고 멋지다고 생각하고 주제의식은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모양이다.

주제의식은 결여된 체 어설프게 원작을 흉내만 낸 각본을 가지고 A급 자본으로 영화를 만들면 이렇게 된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영화이다. 예산이 많이 들어간 만큼 영상이 멋지지만 그건 결국에 돈지랄이다.

또한 화이트워싱도 문제인데 아예 이럴 거면 그냥 미국으로 배경을 삼지 왜 굳이 일본을 고수했는지 모르겠다. 자본의 상당수가 중국자본인데 상하이로 하지 그랬어?

마지막으로 원작의 주제 이해가 부족한 나머지 결말이 사실상 원작의 반대로 간다. 근데 그것이 새로운 철학적인 의미를 낳는 것이 아닌 그냥 맥없는 결말이라서 이게 원작의 모독수준이다.

결론적으로 이미 극장에서 관람한 사람이라면 어쩔 수 없지만 이 영화는 킬링타임 수준도 안 된다. 킬링타임 하려고 봐도 이해도 안 되고 몰입도 안 되게 난잡하게 만들어 놨다. 연출은 A급이니 혹시라도 영화학도가 연출에 관해서 연구를 하려면 보는 건 상관없을 듯싶다. 아무튼 이딴거 보지 말고 1995년 원작을 보길 바란다. 근데 그 이후에 나온 공각기동대 시리즈도 1995년 극장판에 비하면 별로 몰입이 안돼서 그냥 1995년 극장판만 딱 보고 이번 인생에서 공각기동대는 잊어버리길 바란다.

posted by CPT #7 JIN 2017. 3. 3. 01:38


1. 개요&스토리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로 유명한 크리스 프랫, 헝거게임의 제니퍼 로렌스 주연의 SF 영화이다. 우주선에서 시스템 오류로 인한 동면 중단으로 께어난 남자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2. 리뷰

영화의 콘셉트가 우주에서 일어나는 타이타닉이라고 한다. 그렇다 하기엔 사실 부족함이 많긴하다. 명확하게 말하자면..... 아무래도 그냥 우주 비행 재난 영화정도로 생각해야한다. 재난 영화가 맞다. 일단 뭐 배우가 몇명 나오지는 않지만 그래도 꽤나 이름값 있는 배우들이 등장하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영상미도 상당한 편이다. 하지만 그게 영화의 전부라는것이 이 영화의 문제점이다.

우주에서 일어나는 재난........ 그리고 사실상 배우는 4명밖에 등장을 안하는데 이러한 시나리오는 과거에 특수효과라는게 거의 전무했던 시절의 영화와 유사한 점이 많다. 부족한 기술력에서 연출을 하기 위해서 그러한 폐쇠적인 시나리오를 도입하는데 이것은 마치 1968년 개봉되었던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와 유사한 점이 많다. 물론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같은 경우 인공지능과 인간의 대립으로 폐쇠공간에서 문제가 일어난다는 차이점은 있지만 결국 영화 시나리오상 비슷한 점이 존재한다. 결국 이것은 마치 21세기의 CG로 표현해낸 20세기 영화가 된 것이다.

솔직히 말해서 이 영화가 20세기에 나온 영화라면 제한된 기술력 안에서 좋은 작품을 뽑아냈다는 평가를 받을수도 있었겠지만 지금은 21세기이다. 시나리오에 잘 맞춰서 영상 자체는 잘 뽑아줬지만 그 시나리오가 구시대적이라서 이미 별로인 작품이 되어버린것이다.


블로그 자체 평점: ★★☆☆☆

졸작 수준은 아니지만 많이 부족한 작품